지휘근무제도란?
미래 육군의 리더로서 자율정신과 책임의식, 리더십 및 지휘통솔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 지휘근무제도를 실시한다. 지휘근무 생도는 지휘관 생도, 참모 생도로 구분되어 각자 부대 지휘, 참모활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. 생도들은 지휘근무 제도 내에서 학년별 부여된 다양한 직책을 수행하며 지휘근무에 대 한 경험을 쌓게 된다.
편성
생도여단은 여단본부와 2개 대대본부, 각 대대별 4개중대로 총 8개 중대로 구성되어 있다. 중대는 중대 본부와 4개 소대로 편성되어 있으며, 소대는 3~4개 분대로 편성되어 있다. 각 제대는 생도들만으로 편성된다.
-
생도여단
-
여단본부
-
-
1대대
-
대대본부
-
1~4중대
-
중대본부
-
4개 소대
-
3~4개 분대
-
-
-
-
2대대
-
대대본부
-
5~8중대
※ 이하는 1대대와 동일 -
-
지휘근무생도의 권한과 책임
지휘근무생도는 지휘계선상 후배 지휘근무생도에게 규정 범위 내에서 일과 진행을 통제하고, 기능별로 위임되거나 지시된 임무수행을 위해 명령과 및 지시를 할 수 있다. 또한 생도생활예규의 범위 내에서 생도생활 지도를 위한 교정과 포상 권한을 가진다.
지휘근무생도는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타 사관생도의 모범이 되어야 하고 주어진 임무에 대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지휘활동을 하여야 하며,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