육사는 특수목적 ‘대학’으로 지성인으로서 학사 학위교육의 수월성(excellence)을 제고함과 동시에 군교육기관으로서 육사교육의 책무성(accountability) 을 완수해야 할 책임을 지고 있다. 따라서 수월성과 책무성의 상호 보완적 균형은 19세기 초 최초로 유럽에서 근대 사관학교가 생겨난 이래, 지금까지 변하지 않는 사관학교 교육철학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.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육사의 교과과정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.
19 교과과정 교과구조 해설
智仁勇 | 필수 | 학교의 정체성을 제고하고, 타양성기관관의 차별화를 기하며, 균형 잡힌 수월성과 책무성을 담보 |
---|---|---|
과거 학점활동과 동일한 수준의 통제와 평가를 받았으나 비교과활동으로 진행되었던 육사 고유의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학점을 부여함으로써, 생도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활동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다. | ||
교양 | 대학의 지식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 | |
기초 | 문과 및 이과 과목을 균형 있게 배워야 하는 사관학교 교육과정을 고려, 4년간의 학위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기초소양 (역사, 언어, 수리, 과학, 데이터 처리)을 익힌다. | |
선택 | 학문의 기본개념과 탐구방법을 수련하며 학문의 즐거움을 체험한다. (인간과 사회, 언어와 철학, 자연과 생명, 기술과 환경) | |
군사학 전공 | 기초 | 모든 장교에게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군사적 소양 (법, 전쟁사, 리더십, 미래전 양상, 군사영어, 군사이론)을 함양한다. |
필수 | 생도들은 자신의 전공과 병과를 고려, 장차 군사전문가로서 구비해야 할 분야 별 필수 역량을 구비한다 (국방전략, 지휘관리, 군사과학, 군사공학). | |
선택 | 4대 군사학 전공분야별로, 생도들의 자기주도성 신장을 위해 6개의 선택과목을 수강하되, 통섭형 인재육성을 위해 타계열 과목을 3과목 이상 수강하도록 한다. | |
일반학 전공 | 전문 학술연구에 필요한 역량 | |
기초 | 생도들은 일반학 전공 학습을 시작하기에 앞서, 학문 분야별로 특화된 방법론을 익힘으로써, 장차 전문 학술연구에 필요한 기초적 역량을 배양한다. | |
필수 | 생도들은 자신의 전공과 병과를 고려, 장차 전문 학술연구에 필요한 해당 전공의 필수 역량을 구비한다. | |
선택 | 동일한 전공 내에서도 졸업논문의 주제나 생도 본인의 희망에 따라 과목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, 자기주도성을 높이고 보다 폭넓은 학술연구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한다. |
육군사관학교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고 답을 설계할 수 있는 21세기 인재양성을 위해서 본인이 이수할 과목과 학점을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질 수 있는 교과과정을 운용하고 있다. 이에 따라 생도들은 교양, 군사학전공, 일반학전공의 최소 이수 기준을 충족하면, 본인의 선택에 따라 추가학점 이수가 가능하다.
19 교과과정 과목 편성표
구분 | 인문계열 | 자연계열 | 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이수 과목 및 학점 | 총 201~213+ 학점 | |||||||||||||||||
智仁勇 (13+) | 필수 | 13+ | 智(영어집중교육, 64 독서프로그램, 1인 1군사공학 팀프로젝트 등), 仁(리더십 개발활동, 성인지력·양성평등, 화랑대 교양강좌 등)勇(생도맟춤형체력단련, 도전형 군사훈련, 장교학 등) | |||||||||||||||
교양 (36+) | 기초 | 21+ | Academic English, 과학적 사고와 실험, 논리적 글쓰기, 미분적분학(수탁생도: 기초수학), 통계의 이해, 프로그래밍 기초, 한국사 | |||||||||||||||
선택 | 15+ | 언어와 철학, 인간과 사회, 자연과 생명, 기술과 환경 분야 개설 과목 중 택 5+ 과목 (분야별 최소 1 개 선택) | ||||||||||||||||
군사학전공 (63+) |
기초 | 30+ | Military English, 국가안보론, 국방 ICT, 군사공학, 군사이론I, 군사이론II,미래무기체계, 리더십, 전쟁의 역사, 헌법과 민주시민 | |||||||||||||||
필수 | 15+ | 국방전략 | 지휘관리 | 군사과학 | 군사공학 | |||||||||||||
국방과 경제 | 국방경영학 | 군사과학세미나 | 국방 M&S | |||||||||||||||
국방전략세미나 | 군대문화의 이해 | 군사화학 | 군사지리기상 | |||||||||||||||
군사전략 입문 | 군사법 | 레이저 개론 | 군전자통신 | |||||||||||||||
북한의 이해 | 스트레스와 건강 | 사이버전 | 무기공학 | |||||||||||||||
한반도의 전쟁 | 지휘관리세미나 | 전략적 국방분석 | 방호공학 | |||||||||||||||
선택 | 18+ | 군사학/일반학전공 선택 6+과목 (타 계열에서 3+ 과목 선택) | ||||||||||||||||
일반학전공 (45+) |
기초 | 15+ | 게임이론게임이론, 국제관계의 이해, 논리학, 심리학 개론, 양적데이터 분석, 외국지역연구의 이해, 정치경제의 이해, 초급외국어 (택 5+) | 공학개론, 공업수학, 기초 알고리즘, 미분방정식,선형대수학, 일반물리학, 일반화학, 응용물리학(택 5+) | ||||||||||||||
필수 | 15+ | 문학사 | 이학사 | 공학사 | ||||||||||||||
국제관계 | 군사사 | 군사영어 | 군사인문 | 리더십 | 응용경제 | 지역학 | 운영분석 | 응용물리 | 응용화학 | 컴퓨터과학 | 기계공학 | 시스템공학 | 전자공학 | 토목공학 | 환경공학 | |||
융합전공: 군대사회문화연구(문학사), 사이버전(이학사), 인공지능, 국방운동과학 | ||||||||||||||||||
선택 | (15+) | 군사학/일반학전공 선택, 융합전공 선택 과목 중 ACP (Academic Counselor Professor)와 논의 후 5+ 과목 선택 (체육학 이론 과목 포함) | ||||||||||||||||
체육(8) | 필수 | 2 | 태권도, 수영 | |||||||||||||||
선택 | 6 | 체력, 격투, 스포츠 범주 교과목 중 6과목 선택 | ||||||||||||||||
부전공 (12 : 생도 희망 시) | 부전공 : 타 전공 /계열 과목 4 과목 (ACP 승인 시)* 군사학, 일반학 선택 과목과 연계 가능 (ACP 승인 시) | |||||||||||||||||
훈육 (20) | 학기별 2 학점 × 8, 하훈별 1 학점 × 4 | |||||||||||||||||
하훈 (16) | 필수훈련과 선택훈련 구분 | |||||||||||||||||
|
24 교과과정 교과구조 해설
학위 교육 과정 |
교양 (44) |
대학의 지식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 소양 |
||
필수 (32) |
학위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기초 소양(글쓰기, 역사, 언어, 경제, 수리, 과학, 데이터)을 익힌다. 미래전에 대비하여 프로그래밍·AI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초 소양을 기른다. |
|||
선택 (12) |
영어 회화와 영어 발표를 연습하고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한다.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응용에 필요한 공학적 기초 소양을 함양한다. 임관 후 다양한 육체적 도전 임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강인한 신체적 능력 및 정신력을 배양한다. |
|||
전공 (105) |
군사학 (57) |
정예 장교로서 갖추어야 할 지적 역량 |
||
필수 (51) |
육군의 정예 장교에게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군사적 소양(한국전쟁사, 전쟁과 전략, 리더십, 국가안보론, 북한학, 군대윤리, 군사이론 등)을 함양한다. 4차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, 사이버전, 미래무기체계 등의 교육을 통해 미래전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구비한다. |
|||
선택 (6) |
자신의 관심 군사분야에서 장래 군사전문가로서 성장해 나아가는데 필요한 기본 역량을 구비한다. 우주, 사이버, 인공지능, 전자기 등 육군의 작전 영역 확대에 부합하는 첨단과학기술 관련 지식을 습득한다. |
|||
일반학 (48) |
학술적인 연구에 요구되는 전문 역량 |
|||
필수 (30) |
전공 영역별로 학부 수준의 지식과 방법론 등을 체득한다. 전공별 심화학습을 통해 학문적 깊이를 더하고, 전문적인 학술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. |
|||
선택 (18) |
일반학 전공과 연계하여, 학문 분야에서 요구되는 방법론과 기본 지식을 익히고 전문 학술연구에 필요한 기초적 역량을 배양한다. |
|||
군사 훈련 과정 |
* 별도로 정함 화랑기초훈련, 하계군사훈련, 사관생도 합동교육, 임관 전 교육 등 |
24 교과과정 과목 편성표
구 분 |
인문 계열 |
자연 계열 |
|||||||||||||||||||||||
교양 (44) |
필수 (32) |
논리적 글쓰기, Academic English |
|||||||||||||||||||||||
한국사, 경제학 원론, 성인지 리더십의 이해와 실천(2) |
|||||||||||||||||||||||||
통계의 이해, 프로그래밍 기초, 인공지능 입문 |
|||||||||||||||||||||||||
대학수학, 대학물리, 대학화학 |
미적분학, 일반물리I, 일반화학I |
||||||||||||||||||||||||
선택 (12) |
I (6) |
Media English, 영어회화, 영어발표와 연설, 영미문화 이해 |
|||||||||||||||||||||||
기계공학 개론, 시스템공학 개론, 전자공학 개론, 토목공학 개론 |
|||||||||||||||||||||||||
II (6) |
[전투태권도(1), 맞춤형 체력관리(1), 전투 체력관리(1), 격투(1), 체력지도법(0.5), 생활체육I(0.5), 생활체육II(0.5), 생활체육III(0.5)] 범주 교과목 中 각 택1 |
||||||||||||||||||||||||
전공 (105) |
군 사 학 (57) |
필수 (51) |
군대윤리, Military English |
||||||||||||||||||||||
한국전쟁사, 전쟁과 전략(4), 북한학, 국가안보론, 리더십, 헌법과 군사법 |
|||||||||||||||||||||||||
군사이론 I(1.5), 군사이론 II(1.5), 군사이론 III(2) |
|||||||||||||||||||||||||
사이버전, 미래무기체계, 군사지리기상 |
|||||||||||||||||||||||||
무기공학 개론, 국방M&S 개론, 군전자통신 개론, 방호공학 개론 |
무기공학 원론, 국방M&S 원론, 군전자통신 원론, 방호공학 원론 |
||||||||||||||||||||||||
선택 (6) |
전쟁과 인간과 문학, 군사화법, 전쟁철학, War in Media, 실무군사영어, 외국지역 안보현안연구, 군인과 법, 스트레스와 건강, 심리학의 군사적 활용, 상담과 코칭 |
||||||||||||||||||||||||
핵에너지 개론, 레이저 개론, 우주의 군사적 활용, WMD 이해와 실제, 군사생리, 국방 인공지능 응용, 국방로봇과 AI, 군사OR, 군레이더 기초, 군재난안전관리 |
|||||||||||||||||||||||||
일 반 학 (48) |
필수 (30) |
전 쟁 연 구 |
역 사 문 화 |
국 제 관 계 |
리 더 십 |
경 영 |
응 용 경 제 |
법 학 |
군 사 인 문 |
군 사 영 어 |
동 북 아 지역연구 {3} |
유럽 · 중동 지역 연구 {4} |
응 용 물 리 |
응 용 화 학 |
운 영 분 석 |
컴 퓨 터 과학 {2} |
인 공 지 능 |
전 자 공 학 |
기 계 공 학 |
토 목 공 학 |
환 경 공 학 |
시 스 템 공 학 |
국 방 운 동 과학 |
||
인문 계열 11개 전공 {지역연구 7개 트랙} |
자연 계열 11개 전공 {컴퓨터과학 2개 트랙} |
||||||||||||||||||||||||
선택 (18) |
초급외국어I, 초급외국어II, 고급영어, 영미문화연구, 철학과 비판적 사고, 논리학, 심리학, 교육과 학습, 경영학 원론, 세계문화사, 동북아시아의 역사, 선형대수학 |
선형대수학, 미분방정식, 공업수학, 일반물리II, 일반화학II, 컴퓨터과학적 사고와 실습, 공학응용, 기초 딥러닝, 기초알고리즘, 공학기초 프로그래밍, AI 문제해결 프로그래밍, 심리학 |
|||||||||||||||||||||||
총 이수학점 |
149학점 |